티스토리 뷰

반응형

청계천 복원사업의 공간적 범위는 청계천로(태평로 시점 ~ 동대문 ~ 신답철교) 및 삼일로와 그 주변 5.8km 이고

사업기간은 2003년 7월 ~ 2005년 9월이며 사업비는  2005년 기준 386,739백만원이 들어간 큰 사업이다

청계천 복원사업의 특징을 살펴보자면

생태환경의 회복 - 청계천에 맑은 물을 다시 흐르게 하여 생태계의 복원과 환경친화적 도시로 거듭나게 하는 프로젝트

지속가능한 도시 패러다임으로의 변화 - 개발 위주의 도시와 차량 중심의 도시 이미지에서 사람 중심의 도시,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도시 이미지 새로운 도시관리 패러다임으로 전화할 수 있는 프로젝트

역사문화 공간의 회복, 지역 간 균형 발전,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

청계천의 주변지역은 비교적 오래된 건물들이 밀집이 되어있었고 이 문제는 상주인구 감소와 도시환경의 저해를 초래

떄문에 강남권과 강북권의 불균형문제에서 균형발전의 필요와 청계천 복원으로 주변지역의 개발을 촉진으로

노후지역의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강북권이 활성화 되고

청계천 주변으로 고부가가치 사업이 자리 잡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로 인한 결과는

보행·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교통 - 시설물 공급 중심, 차량중심에서 대중교통과 사람중심으로의 변화

지속가능성에 기초한 강남·북 지역 균형 발전 - 청계천변의 건물 임대료와 지가의 상승,

청계천 주변에서 아파트 등의 대한 분양 증가

하천중심의 도시환경 복원 - 하천의 복원으로 친환경성이 강화되고 해당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자 지역 주민들도 이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관심을 갖고 협조하려는 의지를 보임

우리나라의 성공적인 복원사업의 예로 들 수 있는 청계천 복원사업이다

처음 이 사업 안이 나왔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부정적인 측면을 많이 보았지만 다행히도 성공적인 사업이 될 수 있었다는 점이 감명 깊었다

반응형

'도시 및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계획기사 시험일정!!  (0) 2019.07.18
평택의 소개  (0) 2019.07.10
주택개발의 방향성은 무엇일까?  (0) 2019.06.21
도시 재생 사업이란 무엇인가?  (0) 2019.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