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도시 재생 사업이란 무엇인가?

 

먼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를 보면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 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 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도시에 대해서 재생을 통해 기능을 끌어올려 주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번 정부에서 5년 동안 50조라는 큰 예산이 투입이 된다고 하니 매우 관심이 가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예산이 일자리 창출에만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본다

 

본질 그대로 도시 재생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게 예산이 들어가야 한다고 느꼈다

 

저번 년도에 창신 숭인 도시재생 사업에 대해서 강의를 들었던 적이 있다

 

이곳은 봉제산업이 주를 이루다가 시대가 변하면서 사람들의 발검음이 점차 끊기고 쇠퇴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역상인들과 주민들의 지속적인 소통과 활성화 방안 제안으로 성공적인 재생 사업이 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서는

 

정부에서 일방적으로 추진이 되는 사업이 아닌 지역 주민들과의 쌍방향의 개발 사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에서도 도시 재생 사업지에 대한 선정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이러한 문제에서 발생되는 각 종 이해관계의 문제, 타당성 등이 고려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까?

 

주민들의 의견을 보다 많이 접할 수 있는 매체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이 된다

 

또한 비교적 도시 재생 분야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알고 있지 못한 주민들에게

 

코디네이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다가올 것이다

 

현재 도시 재생의 사업지가 몇 군대 선정이 되어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보다 효과적으로 성공적인 도시 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의견을 낼 수 있는 자리가 공정히 나와야 할 것이다

반응형